외규장각 의궤 《 왕의 서고, 어진 세상을 꿈꾸다 》 – 국립중앙박물관 서화관 상설 전시
외규장각 의궤
《 왕의 서고, 어진 세상을 꿈꾸다 》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중 하나인 외규장각 의궤를 전시한 《 왕의 서고 》를 다녀왔습니다.
이 전시는 기존의 상설전을 새롭게 왕실의 주요 행사를 세세하게 기록한 기록물이자 책으로서 이번 전시는 전시품은 물론 전시를 선보이는데 있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신경 쓴 흔적이 보이는 전시이기에 남녀노서 불문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딱딱했던 박물관 소장품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전시이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새롭게 정비하며 다시 열리는 전시로, 전시공간의 2층으로 올라가시면 사유의 방 맞은편 오른쪽인 서화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물론 맞은 편에 있는 사유의 방도 좋으니 이전에 방문해 보지 못하셨다면 같이 가셔도 좋습니다.

정확한 전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개한 아래 전시에 대한 내용을 가져왔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시 소개
1866년 강화도를 침략한 프랑스 군대가 가져갔다가 2011년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를 전시하는 공간이다. 외규장각은 정조正祖(재위 1776-1800)의 명으로 강화도에 설치되었던 왕실의 중요 기록물을 보관하던 장소이며, 의궤는 왕실의 중요 행사를 세세하게 기록한 책이다.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왕이 보던 ‘어람御覽’용 의궤이고, 세상에 단 1부밖에 전하지 않는 유일본 의궤가 29책이 포함되어 있다.
전시실은 마치 외규장각에 있는 듯 ‘왕의 서고’를 재현하고, 외규장각 의궤의 아름다운 외형뿐 아니라 촘촘한 기록으로 조선 왕실의 중요 의례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어려운 의궤 속 내용을 지금의 언어로 더욱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 서고書庫’가 마련되어 있다. 외규장각 의궤실은 3개월에 한 번씩 전시품을 교체한다.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우선 이곳에 오게 되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눈에 띄는 공간이 하나 있는데요, 바로 외규장각 의궤인 책 표지를 전시한 책의가 있는 공간입니다.
당시 책의는 주로 귀한 옷에 쓰는 초록 비단으로 외규장각 의궤의 표지를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인지 자세히 보면 초록빛이 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1970년대 프랑스에서 표지를 현대 직물로 바꾸면서 의궤에서 분리가 되었는데 아무래도 100년 이상 지나면서 비단이 상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이번 전시가 이렇게나 화제가 된 이유는 이번에 새로 전시공간을 정비하면서 보이는 입구에서부터 있습니다.
이미 인터넷이나 SNS에 떠돌고 있는 사진들을 많이 보셨을 텐데요, 실제로 봤을 때 사진 찍기 좋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출입구 쪽에 배치되어 있어 실제 사진 찍기는 쉽지는 않더군요.

그보다는 왕의 서고 느낌을 직간접적으로나마 잘 구현했다는 점이 관람객에게 친숙하게 다가가지 않았나 싶고 실제 책이 꽂힌 것이 아닌 모형의 책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있어서 크게 훼손될 염려는 없기에 부담 없이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진짜 비단이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는 것은 어쩔 수 없더군요.
오른쪽으로 가면 방으로 꾸민 공간이 있고 마치 방 한 가운데 상자 안에는 앞서 입구에서 본 실제 의궤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맞은편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자세한 설명도 덧붙여 있기에 이해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게끔 되어 있습니다.
의궤는 총 297권으로 그중 291권이 국왕이 보기 위한 어람용이라고 하고 아무래도 국왕에게 올리는 책이기 때문에 정성스럽게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의궤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리저리 이동하면서 보존되다 보니 제대로 그대로 보존된 형태는 11권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알려주는 듯한 느낌도 듭니다.


왕실에서는 중요한 행사를 치른 후에 기록물로서 의궤를 만들기도 했는데요, 경사스러운 의례는 가례, 죽음을 애도하는 의례는 흉례라고 하여 왕실의 결혼과 장례 절차를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매우 자세한 내용이 그림과 함께 그려져 있었고 전시 설명도 잘 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도록 안내되어 있습니다.
전시된 책은 주로 숙종 시대의 결혼과 장례 절차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의궤의 내용을 모두 전시하기는 방대한 양이라서 그런지 이번에 독특하게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특별히 디지털 서고를 마련하였는데, 종이로 된 책을 직접 넘기면 위에서 빛으로 책의 내용을 보여주는 형태로 전시를 했던 점이 매우 독특했습니다. 마치 실제 서고에서 책을 꺼내서 본 느낌이 들었던 곳이라 어른들에게도 아이들에게도 흥미롭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번역과 해석 버튼을 누르면 그 뜻도 알 수 있도록 해놓았다는 점에서 기술의 발전을 전시에 잘 활용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자칫 우울하다고 생각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림 안에서 왠지 모를 희망이 보이는 박물관 하면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점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기술과 새로운 트렌드를 잘 접목해서 관람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전시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전시가 아닌가 싶습니다.
무료이고 언제 어느 때나 볼 수 있는 상설전시인 만큼 시간 되실 때 방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외규장각 의궤 《 왕의 서고, 어진 세상을 꿈꾸다 》 – 국립중앙박물관 서화관 상설 전시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