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존 오브 인터레스트 The Zone of Interest – 이 영화를 왜 올해 최고의 영화라고 하는 이유

The Zone of Interest

 

오랜만에 영화 관람 후기를 씁니다.

바로 요즘 최고의 화제작 중 하나인 존 오브 인터레스트 (The Zone of Interest) 인데요

다들 요즘 이 영화를 왜 올해 최고의 영화라고 하는지가 궁금해졌습니다.

상당히 생각하는 바가 많은 영화이기에 영화에 대한 후기를 남겨볼까 합니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

<존 오브 인터레스트> 영화 개요

이 영화는 1933년에서 1945년 히틀러와 나치당 집권으로 시작해서 제2차 세계대전 연합군이 패배할 때까지의 기간을 다룬 홀로코스트(Holocaust)를 다룬 영화이기도 합니다. 대표적 영화 중 하나가 바로 쉰들러 리스트이기도 한데요

그중에서도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이야기를 다뤘는데 보통 수용소 내부나 전쟁에 관한 참상을 이야기한다면

이 영화는 그 외부에 있는 사람들 중 당시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지휘관과 그 가족들에 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당시 권력을 쥐고 있는 가해자로서의 생활상을 관객으로 하여금 멀리서 바라보며 인간의 본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 독특한 영화이기도 하지요.

이 이야기는 실존 인물인 회스와 그의 가족에 관한 이야기이고 합니다.

초기 조사에서 찾은 사진도 있다고 하여 가져와 봅니다.

이 영화를 위해 3년 동안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박물관에서 조사하고 피해자와 생존자의 증언들을 수집했다고 하네요.

 

이번 영화로 제96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음향상, 국제 장편영화상을 받기도 했는데요 독특한 세계관과 구성을 만드는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의 신작 영화이기에 그가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관심이 주목되면서 비록 비주류의 영화이지만 엄청난 화제와 주목을 몰고 오기도 했습니다.

이번 영화가 특히 화제인 이유는 그동안 많은 영화인들이 기다려온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의 오랜만의 신작 영화이기도 합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은 뮤직비디오 혁명을 일으킨, 어디선가 한번은 본 매우 익숙한 명반인 자미로콰이(Jamiroquai)의 Virtual Insanity 뮤직비디오로 아주 유명합니다.

 

감독은 영국 국적의 유대인이기도 해서인지 이번 영화가 특히나 더 와닿기도 한데요

최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국제 장편 영화상을 수상한 당시의 수상소감에 최근의 하마스 공격이나 이스라엘 가자 지구 공격의 숨진 희생자들을 언급하며 전쟁 상황 속에서 저항할 수 없는 무고한 희생자들에 대한 소감을 이야기하기도 했지요. 물론 그것이 이번 영화와 무슨 관련이 있냐는 비판적인 공격도 많았지만 그가 말하고 싶은 것은 인간은 끊임없이 역사 속에서 어떤 삶이 옳은 삶인지 끊임없이 반문해야 한다는 뜻이 아닐까 싶네요.

 

<존 오브 인터레스트> 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포인트 5

 

이번 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몇몇 장면들이 있습니다.

스포가 포함되어 있으니 아직 보시지 않은 분들은 지나가셔도 좋습니다.

 

1. 마치 천국과 같은 아름다운 낙원, 하지만 그 속에는

그 뒤에 나오는 첫 장면은 정말 우리가 꿈꾸는 낙원이 나옵니다.

주인공인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지휘관 회스와 아내인 루돌프와 아이들까지 온 가족이 마치 그림 같은 곳에서 여유롭고 행복한 일상을 보냅니다. 수영도 하고 피크닉도 하고 말이지요.

 

아우슈비츠 수용소 바로 옆에 붙어사는 가족들은 아름다운 정원도 꾸몄습니다.

특히 아내가 매우 이 정원에 애정을 갖고 꾸몄는데요

꽃을 가꾸고 나무를 심고 수영장을 만들었습니다.

이는 수용소 안과 매우 대조를 이루는 시각적 화면으로 사용됩니다.

물론 수용소 안은 영화 안에서 절대 보이지 않습니다.

철저히 그 가족의 관점으로만 보여주고 있는 것이 이 영화의 특징입니다.

하지만 그래서 오히려 더 소름 돋기도 하지요.

 

영화 중반 즈음에 어린아이들과 회스가 물놀이를 하다가 강가에서 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역겨운 것들을 마주하게 되지요. 회스는 어린아이들을 데리고 급히 집으로 들어갑니다.

본인이 행한 죄는 언젠가 다시 돌아온 다는 것을 암시하는 부분입니다.

 

 

2. 아내 루돌프의 대사와 행동

여기서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아내 루돌프입니다.

마치 남의 것이 내 것인 마냥 하는 장면이나 집에서 같이 사는 도우미들에게 하는 행동은 이기적인 무지에 대한 인간의 아주 단편적인 죄의식에 대해 보여줍니다.

 

 

3. 제3자의 관점

어느 날 아내 루돌프의 친정어머니가 집으로 방문합니다.

루돌프는 신이 나서 정원을 소개하고 지금 삶에 대한 노력과 만족도를 어머니에게 표현하고 자랑합니다.

하지만 어두 컴컴한 밤, 어머니는 멀리서 끔찍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딸에게 말도 안 하고 편지만 남기고 급히 떠납니다.

가족들은 느끼지 못하지만 일반적인 제3자가 느끼는 죄의식에 대한 고통을 아주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장 첫 장면에는 한참 동안 스크린에 아무것도 보여주지 않은 채 주변의 소리만을 담아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고요하지만 그 속에서는 많은 소리가 들리는데요 관객으로 하여금 먼저 그 느낌을 자신만의 느낌으로 온전히 느끼게끔 만듭니다.

그리고 이는 뒤에 나오는 아름다운 장면들과 아주 대조되는 느낌이라서 오히려 소름이 돋게 됩니다.

 

 

4. 회스의 침묵과 고뇌

회스는 그렇게 말이 많은 캐릭터는 아닌데요 묵묵히 자기 할 일만을 합니다. 마치 공무원같이 말이죠.

명령이 떨어지면 명령대로 움직이지만 그 안에서도 나름 권력을 쥐기 위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군분투합니다.

그것이 어떤 악을 가져다주는지 알고 있음에도 자신만의 안위를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본능은 숨길 수가 없었습니다.

행해야 하지만 거부해야 하지만 거부할 수 없는 것이지요.

우리는 본능적으로 부정하는 악의 근원을 자신의 안위를 위해 행할 때 나오는 아주 극단적인 장면들이 마지막에 표현됩니다. 거스르고 싶지만 거스를 수 없는 것.

본능적으로 거부감이 드는 비인간적 행동이라면 그것은 결코 옳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마지막 장면입니다.

 

 

5. 알렉산드라의 행동

영화 중간에는 루돌프 가족과 대비되는 인물인 알렉산드라가 나옵니다.

가족과 관계없는 인물이지만 이 캐릭터도 실존 인물이기도 한데 당시 유대인들을 위해 몰래 사과를 가져다 놓은 인물입니다.

독특한 것은 밤에 몰래 숨어서 해야 했던 일이라는 것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흑백으로 표현하면서

선이란 어둠 속에서도 환하게 빛나는 일이라고 말합니다.

앞서 나온 루돌프 가족들의 모습은 아름답고 환하지만 결코 그 모습이 아름답지 않은 것은 그들의 비인간적인 행동이기에 이와 매우 대조되는 역할로 보입니다.

 

 

재미로만 보는 영화는 아니지만 우리가 앞으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삶을 바라보고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아주 좋은 영화가 아닌가 싶습니다.

어쩌면 역사라는 것은 각 개인이 어떤 생각을 하느냐에 따라 만들어지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사회 구성원이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소리냈다면 과연 이런 참혹한 일이 벌어졌을까 싶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는 화면구성, 특히 색과 소리가 상당히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를 잘 담아내고 있어서인지 역시 조나단 글레이저 감독 답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영화입니다. 영화 자체로도 매우 잘만든 웰메이드 영화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소 초반에는 지루할 수도 있지만 가만히 영화에 집중해 보시면 많은 것들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특히 영화가 음향상을 받은 만큼 사운드가 아주 중요한 영화기도 하니 소리에 집중해서 보시면 좋기에 극장에서 몰입해서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존 오브 인터레스트 The Zone of Interest – 이 영화를 왜 올해 최고의 영화라고 하는 이유 더 읽기"

JoanDidion 조앤디디온

Joan Didion <The Center Will Not Hold 조앤 디디온의 초상>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추천

Joan Didion 

<The Center Will Not Hold>

 

넷플릭스의 다큐멘터리 중 볼만한 좋은 다큐멘터리인 조앤 디디온의 초상 (Joan Didion : The Center Will Not Hold)을 소개해 봅니다.

조앤 디디온 (Joan Didion)은 바로 미국 유명 여성 작가이자 보그의 에디터이기도 합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2017년에 나온 작품으로, 죽기 전, 작가 조앤 디디온에 대한 인터뷰와 일생을 덤덤하게 담아냈습니다.

그녀의 글과 생각, 삶의 자세만큼 다큐멘터리의 영상 역시 전체적인 흐름도 묵직하게 흘러갑니다.

처음에는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마지막으로 가면 갈수록 그 먹먹함이 전해져 옵니다.

지금은 타계한 그녀를 기리며 다큐멘터리와 그녀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해볼까 합니다.

 

Joan Didion 조앤 디디온

출생: 1934년 12월 5일 – 2021년 12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

국적 : 미국

 

다큐멘터리를 보기 전, 이해를 돕기 위해 조앤 디디온의 일생을 잠시 소개해 봅니다.

1934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크라멘토에서 태어났다. 버클리대학 영문과 재학 중 〈보그 Vogue 〉가 후원한 에세이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것을 계기로 졸업 후 〈보그〉에 취직했다. 뉴욕 〈보그〉에서 에디터로 일하던 중, 1963년에 첫 번째 소설 《Run, River》를 발표했다. 작가인 존 그레고리 던과 결혼하여 캘리포니아로 돌아온 후, 여러 편의 소설과 논픽션,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특히 ‘소설처럼 읽히는 저널리즘’을 뜻하는 뉴저널리즘의 기수로, 미국 유수의 신문과 잡지에 수많은 기사를 기고했다. 2005년에 《상실 The Year of Magical Thinking》로 전미도서상(논픽션 부문)을, 2007년에 미국 도서재단 메달과 미국 작가조합 에블린 F. 버키 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에 하버드대학 명예 문학박사와 2011년에 예일대학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1년 뉴욕에서 타계했다.

(출처 : 교보문고)

영상에서는 조앤과 인터뷰를 하면서 이전의 기억을 소환합니다.

틈틈이 조앤이 썼던 글에 대한 사건 사고에 대한 사진을 보여주기도 하고, 주변 인물이 보는 조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빼놓으려야 빼놓을 수 없는 남편 존 그레고리 던 (John Greory Dunne)과 퀸타나 루 던 (Quintana Roo Dunne)에 대한 이야기기가 이어집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후반까지 조앤은 주로 혼란스러웠던 미국의 어두운 면을 글로서 대담하게 표현하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저널리즘의 객관성과 단편성을 거부하는, 새로운 목소리의 뉴 저널리즘에 대한 내용을 글로 썼습니다. 영화 전반부는 조앤이 썼던 글에 대한 당시의 사건, 가해자의 인터뷰 등에서 느끼고 겪었던 것들에 대한 내용을 조앤과의 인터뷰를 통해 설명합니다.

후반부로 갈수록 주로 남편과 입양한 딸 퀸타나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조앤 디디온은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퀸타나가 갑자기 응급실에 실려가면서 중환자실에 들어가게 되고, 함께 병문안을 다녀온 남편은 이유 없이 갑자기 집에서 심장마비로 쓰러져 하늘나라로 가게 되지요.

그 뒤 6개월 후, 퀸타나도 병이 더욱 악화되어 결국 조앤을 떠납니다.

그렇게 짧은 간격으로 세상에서 제일 사랑하는 사람 둘을 잃은 조앤은 그 당시 느꼈던 슬픔과 상실감을 덤덤히 그녀만의 문체로 풀어 글로 써내려가기 시작합니다. 그것이 바로 미국 문학에서도 엄청난 화제를 낳았던, 그리고 지금까지 명작으로, 꼭 읽어봐야 할 베스트셀러인 ‘상실 (The Year of Magical Thinking)’이라는 책으로 출간됩니다.

안타깝게도 현재는 국내에서 한국어판은 절판된 상태이고 영문판만 구입 가능합니다.

예전에 배우 문가영이 tvN의 ‘문제적 남자’ 프로그램에 나왔을 때, 타일러에게 좋은 책을 추천 받고 싶다고 했을 때, 타일러가 이 책을 추천했다고 할 정도로 좋은 책입니다. 

특히 상실이란 책이 주목받게 된 이유는 이전의 글이 주로 시대정신을 반한 복합적인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문화적 변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 저널리즘에 가까웠던 것에 반해 개인의 성찰을 담은 회고록이기에 독자들에게 많은 공감을 일으키며 문학과 문화가 절묘하게 결합한 독특한 문체와 형태로 표현됩니다. 그만큼 영문학적으로, 글로서도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책이 아닌가 싶습니다.

삶의 슬픔을 조앤만의 이성적인 관점으로 덤덤하게 풀어냈다고 하지만, 읽어보신 분들은 책을 덮는 순간 그녀의 처절한 몸부림과 깊은 슬픔을 느낀다고 하네요. 더군다나 조앤과 남편은 주변에서도 알만한 잉꼬부부이기도 했고, 서로의 소울메이트도 했으니까요.

조앤 역시 인터뷰에서 글 쓰는 남편이 아니었으면 자신이 결혼을 했을까 싶을 정도로 얘기했으니 말입니다. 사진을 보아도 금슬이 너무 좋아보이는 부부이기도 했지만, 조앤이 말하길, 남편이 진정한 소울메이트 였다고 하니 남편이 곁에 없었을 때의 상실감은 이루 말할 수 없겠지요.

특히 ‘상실’이란 책은 남편을 잃은 슬픔이 주가 됩니다. 

이 책이 출간된 이후 안타깝게도 연이어 하나밖에 없는 딸이였던 퀸타나가 하늘나라로 되었고, 아무래도 남편의 죽음에 연이은 일이기에 퀸타나의 죽음은 이후 조앤이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더욱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합니다.

퀸타나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은 또 하나의 책인 ‘푸른 밤 (Blue Night)’으로 출간되기도 했습니다.

가족을 잃는다는 슬픔은 과연 어떤걸까요.

그 어떤것보다 세상에서 한번쯤은 마주해야 할 가장 큰 상실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기에도 언젠가는 다가올 이야기이기에 남의 일일 수 없으니 말이지요.

하지만 남아있는 사람은 결국 살아내야 하고, 그 삶을 또 다른 아픈 사람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가져준다면 그 역시 마주해야 하는 시간이지만 진정한 삶에 대해 마주할 수 있게 해주는 시간이 아닌가 싶습니다.

 

우리는, 그리고 곁에 있는 사람들은 항상 영원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가까이 있을수록 더욱 소중히 많은 시간을 보내며 좋은 기억을 쌓고 서로에게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더불어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지도, 두려워 할 필요 없이 언젠가는 스스로도 맞이할 일이라는 것을 숙명처럼 받아들인다면 지금의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곰곰히 생각해볼 수 있게 되지 않나 싶습니다.

Joan Didion <The Center Will Not Hold 조앤 디디온의 초상> –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추천 더 읽기"

쇼핑 카트